Activity/Wrtn's Campus Leader (3) 썸네일형 리스트형 WRTN Campus Leader 1기 회고 음... 너무 늦은 것 같기도 하지만! 뤼튼의 캠퍼스 리더가 어떻게 되고 그동안 어떤 일을 했는지 간단하게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너무 의미 있는 시간들이었고 많은 사람들과 네트워킹하며 느낀 점도 많아서 주절주절 이야기하더라도.... 양해 미리 부탁드립니다! 우선 저는 링크드인에서 아래의 공고를 보고 지원을 했습니다! 저는 당시에 NLP에 한창 빠졌을 때라 대한민국 (대표) 생성형AI 기업인 뤼튼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진 활동에 도전을 하는게 그리 어렵지는 않았습니다. 저는 지방에 있기도 했지만 여기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 많을 거라고 의심하지 않았기에 뭐... 안될 가능성 80%로 두고 우선 지원하자!!해서 지원을 하게 되었습니다 ㅎㅎ제가 신청서에 어떤 내용을 작성했는지 자세히 말씀드리는 것보다 그 내용 중.. Prompt Engineering : Zero-Shot & Few-Shot " 이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챗봇(혹은 생성형 AI)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라는 질문은 LLM 시대가 도래하고, 여러 생성형AI가 나오게 되면서 계속 실험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하루에도 무수히 많은 방법론들이 나오고 있는 이 시점에서 모든 것을 확인할 수는 없겠지만 그 중 몇가지만 소개해보고자 한다. 우선 이를 이해하기 위해 몇가지 알아야 할 간단한 개념이 있다.먼저 제목에서도 볼 수 있는 '프롬프트(prompt)'이다. prompt의 어원은 '즉각적인, 신속한, 즉각 움직이도록 만들다...'이며 연극이나 방송에서는 '연극이나 배우에게 대사나 동작을 알려주는 일'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렇다면 자주 언급되는 ChatGPT 등 생성형AI의 ChatBot에서 사용되는 .. 대학생의 뤼튼(wrtn) 활용법 안녕하세요, 저는 뤼튼(wrtn)의 캠퍼스리더 1기 김유신입니다! 공부기록을 잠시 미뤄둔 채로(?) 대학생들을 위한 뤼튼 사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그전에, 뤼튼(wrtn)을 혹시 아시나요? (>> 뤼튼 구경하기) 뤼튼은 다양한 생성형 AI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AI 플랫폼입니다. 그럼 여기서 뤼튼과 다른 모델(특히 ChatGPT)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혹시 지금 여러분이 사용하고 있는 ChatGPT를 학습시킬 때 사용한 데이터의 97% 이상이 영어인거 알고 있으셨나요? 그리고 나머지 약 3% 중 0.02% 정도가 한국어 데이터셋에 해당한다고 합니다.(▶출처) 그렇기에 한국어를 통해 질문을 하는 것보다 영어로 번역을 하여 같은 내용을 질문하는 것이 훨씬 더 퀄리티 있는 답변.. 이전 1 다음